“운영비만 연간 최소 30억 원 … 총사업비 500억 원 이상, 도민 부담 가중 우려”

[충남 세계타임즈=이현진 기자] 충남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지민규 의원(아산6·무소속)은 12일 산업경제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충남 청소년 직업체험관 건립사업은 총사업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음에도 아산시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도민 부담만 가중되고 있다”며 “전면적인 사업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강하게 지적했다.
지 의원에 따르면, 해당 사업은 2025년 제2차 중앙투자심사(7월 2일)에서 수요 및 편익 과다 추정, 경제성 분석 오류 등의 사유로 재검토 통보를 받았다. 총사업비는 기존 430억 원에서 610억 원으로 증가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 사업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후 9월 10일 제3회 추가경정예산에 학술연구용역비 2억 원이 반영되었으며, 10월 2일 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충청남도·아산시 간 협의를 통해 사업 조정 방안이 논의됐다. 그러나 지난 11월 11일 충남도에 아산시가 5:5로 분담 하기로 한 30억 원 규모의 운영비 부담 불가 입장을 공식 통보하면서 사업 추진에 큰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따라 사업은 당초 총사업비 610억 원 규모에서 건립비 430억 원 수준으로 축소될 예정이며, 축소된 규모는 2016년 개관한 순천만잡월드보다 작은 것으로 파악된다.
지 의원은 “결국 기존 계획 대비 면적과 기능이 20% 이상 축소된 규모로 추진될 예정이며, 체험공간과 부대시설이 대폭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전국 최소 규모의 직업체험관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 의원은 “예상 운영비만 연간 최소 30억 원 수준으로, 향후 10년간 300억 원 이상이 소요될 전망”이라며 “건립비 430억 원(국비 145억·도비 158억·시비 127억)에 운영비까지 감안하면 총사업비는 10년간 730억 원, 인건비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최대 800억~900억 원에 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지 의원은 “당장 반납이 우려되는 국비 15억 원이 아깝다고 해서 수백억 원의 도비와 시비를 부담하는 결정을 서둘러서는 안 된다”며 “이제는 나무가 아니라 숲을 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지 의원은 “이 사업은 오세현 아산시장의 공약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시는 운영비 부담을 거부하며 책임을 도에 전가하고 있다”며 “청소년 직업체험관 건립을 진정으로 원한다면, 아산시가 책임 있는 자세로 나서야 한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전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