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향수목원 내 다섯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목 생리가 활성화된 6월에 5,314~8,716 ng/Sm3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7월(1,280 ~2,115 ng/Sm3)과 8월(1,761~3,592 ng/Sm3)에도 높은 수준의 피톤 치드가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피톤치드 발생 연구 등에 따르면 1,000 ng/Sm3의 농도는 높은 수준의 발생량으로 평가한다.
하루 중 피톤치드 발생량이 가장 많은 시간대를 알아보기 위해서 천년숨결치유의길에서 24시간 측정한 결과, 6월은 오후 3시~6시, 7월과 8월에는 오후 6시~9시 사이에 피톤치드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산림 치유 효과를 위해서는 피톤치드 분비가 활발한 오후에 방문할 것을 추천한다.
신인철 강원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도내 주요 산림휴양지의 피톤치드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산림의 치유적 가치를 홍보하고, 도민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꾸준히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전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