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 교수가 온라인으로 '뇌 발달에 근거한 자기조절 측면'과 '영유아를 위한 부모의 역할 측면'을 주제로 강연
◈ 누구나 별도의 신청 없이 우리아이발달지원단 누리집(www.woorii114.org)을 통해 자유롭게 강연을 들을 수 있어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오는 12월 1일부터 시 장애인종합복지관 우리아이발달지원단 누리집을 통해 발달지연 영유아 지원을 위한 '2025 미니강연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미니강연 전시회는 시 ‘우리아이발달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열리며, 발달지연 영유아 조기 발견·개입의 중요성과 지원 전략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시 장애인종합복지관 우리아이발달지원단과 국민건강보험공단 부산울산경남지부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이번 미니강연 전시회는 온라인 영상 강연 형식으로 열리며, 영상은 1편(자기조절)과 2편(부모역할)으로 나눠서 게시된다.
▲1편에서는 ‘뇌 발달에 근거한 자기조절 측면’을 주제로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제욱 교수가 ▲2편에서는 ‘발달지연 영유아를 위한 부모의 역할 측면’을 주제로 동의대학교 유아교육과 서보순 교수가 강연한다.
해당 주제에 관심 있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별도의 신청 없이 우리아이발달지원단 누리집(www.woorii114.org)을 통해 자유롭게 강연을 들을 수 있다.
강연 영상은 12월 1일부터 내년(2026년) 3월 1일까지 게시되며, 미니강연 전시회에 관한 자세한 문의는 시 장애인종합복지관 우리아이발달지원단(☎051-790-6149)으로 하면 된다.
우리아이발달지원사업을 운영 중인 이승희 시 장애인종합복지관장은 “발달지연 영유아 지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번 강연회를 통해 부모와 현장 교사들의 이해를 넓히고 지원 역량이 강화되길 기대한다”라며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참여를 당부했다.
한편, 조기개입이란,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발달지연 영유아와 가족을 위해 의료, 복지, 심리사회, 교육, 치료 등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발달지연 영유아의 조기 발견·개입의 중요성과 사회적 대응의 시급성은 높아지고 있다. 뇌의 가소성*을 고려할 때, 조기개입은 장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사회적 비용 절감에도 핵심적인 전략으로 평가된다.
* 뇌 가소성 : 뇌가 학습·경험 등 자극에 따라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는 능력
국민건강보험공단(2023) 영유아 건강검진 통계에 따르면, 전국에서 발달평가 결과 ‘심화평가 권고’를 받은 영유아의 비율은 2017년 1.8퍼센트(%)에서 2023년 3.3퍼센트(%)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체 수검자 중 12.3퍼센트(%)가 ‘추적검사 요망’으로 판정돼, 발달추적과 정밀평가가 필요한 영유아가 꾸준히 늘고 있다.
시는 2010년부터 우리아이발달지원단에 예산을 지원해 장애 또는 장애위험군 영유아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운영해 왔다. 2014년에는 전국 최초로 '장애조기발견 및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우리아이발달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시는 발달 지연 영유아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올해(2025년) 우리아이발달지원단 전담 인원을 1명 충원했으며, 우리아이발달지원단, 전포·용호종합사회복지관, 해운대구장애인복지관과 민관 협력 체계(거버넌스)를 구성해 권역별 조기발견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이달에는 우리아이발달지원단 홍보영상을 제작해 시 공식 유튜브를 통해 송출하는 등 시민 홍보에도 힘쓰고 있다.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은 “발달지연 조기개입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는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번 전시회를 통해 관심을 가지길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관련한 다양한 사업과 홍보를 강화하는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전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