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16개 산・학・연・관 “케이(K)-조선업 도약 위해 힘 모은다”

이호근 / 기사승인 : 2025-10-29 11:04:26
  • -
  • +
  • 인쇄
‘수소·암모니아 해상 이동수단(모빌리티) 특화단지 육성 협약’체결
국제 탄소규제 대응…무탄소 선박 산업 생태계 구축 본격화
[울산 세계타임즈=이호근 기자] 울산시가 16개 산·학·연·관 기관과 함께 ‘수소·암모니아 해상 이동수단(모빌리티) 특화단지 육성을 위한 협약’을 서면 체결하고 케이(K)-조선업 도약을 위해 힘을 모은다.

 

협약에는 ▲울산시 ▲울산테크노파크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울산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이치디(HD)한국조선해양 ▲에이치디(HD)현대중공업 ▲에이치디(HD)하이드로젠 ▲롯데정밀화학 ▲카프로 ▲현대머티리얼 ▲현대중공업터보기계 ▲더에버원 ▲우창이엔씨 ▲우경인더스 등 16개 기관 및 업체가 참여했다.
 

이번 협약은 국제해사기구(IMO)와 유럽연합(EU)의 강화된 탄소규제*로 인해 수소·암모니아 기반 무탄소 선박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산업 경쟁력 확보와 초기 시장 선점이 시급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 IMO 온실가스 감축 목표 : ‘50년까지 연간 해운 총 온실가스 배출량 Net-Zero 달성
* EU ETS(Emissions Trading System) : 권역내 탄소배출 제한을 위한 배출권거래제(‘24~)
* FuelEU Maritime : 연료유 온실가스 집약도 제한(‘25~)
 

협약의 주요 내용은 ▲울산형 수소·암모니아 해상 이동수단(모빌리티) 특화단지 구축 ▲산업화 기반 조성 및 상용화 모형(모델) 개발 ▲소재·부품·장비 기업 경쟁력 강화 ▲수소산업 자생화 및 협력 연결망(네트워크) 고도화 등이다.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세계적 탄소중립과 해외 탄소규제는 이제 해운 분야까지 확산되고 있다. 또한 탈탄소 보호무역이 심화되는 시대에서 친환경 제품 전환과 신시장 선점은 필수적이다.
 

중국과 일본은 정부 주도의 정책 아래 수소・암모니아 연료선 개발과 공급망 재편, 초기 수요 창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정부도 지난 2020년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고 한국형 친환경선박 보급시행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2021년에는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고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수립해 수소‧암모니아 연료선 개발‧보급을 추진해 왔다.
 

최근에는 케이(K)-조선업 도약을 위한 무탄소 선박 기술 개발과 울산지역 친환경 선박기술 개발 지원을 주요 국정과제로 채택했다.
 

울산지역은 산업부의 『제5차 산업집적활성화 기본계획』에서 조선과 수소분야의 집적화가 전국 최고 수준으로 분석되어 수소를 접목한 친환경 선박 기자재 조선산업 육성의 최적지라 할 수 있다.
 

* 산업종사자수 기준 특화도 분석결과(울산) : 수소산업(3.40, 전국1위), 조선산업(16.40, 전국1위)
 

특히 전통적 화석연료 기반 기업이 많아 친환경 수소・암모니아연료 중심으로 사업 확대, 업종 전환, 신규시장 진출도 활발하다.
 

이에 울산시는 지난 8월 산업부의 수소특화단지 공모에 미포국가산단을 ‘무탄소 선박 세계적(글로벌)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제출하고 ‘수소·암모니아 해상 이동수단(모빌리티) 특화단지 육성에 나서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울산의 주력산업인 조선·석유화학과 수소·이차전지 등 첨단산업을 연계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며 “울산이 수소·암모니아 기반 친환경 해양 이동(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으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수소산업 지원 조례 제정과 육성계획 수립, 수소생산시설 및 배관망 구축, 안전관제센터 운영 등 수소 선도도시로서의 기반(인프라)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또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수소산업협회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기업의 탈탄소 전환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다.

 

[저작권자ⓒ 전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